[방법] • 내가 타인에게 쉽게 설명하는 투자 복잡계의 특성은,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의 종류도, 계수 값도, 변수간 상관도 모두 (미세하게라도) 과거와 바뀌어 있다. • 따라서, 투자에 대해 과거 (사례)를 통해 항구적으로 적용되는 진리를 학습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 본인은 여기에 대한 대안으로 다음을 제시한다. • 심플한 가설을 세운 뒤, 부담없는 금액을 베팅하고, 결과와 결과에 주요했던 요인을 기록한다. 그리고 이를 무수히 반복한다. 항상 나의 지식과 경험은 살포시 내려 놓는다. • 이렇게 많은 투자건을 소화해야 나의 신경망이 충분히 학습 될 수 있고, 그때 비로소 그것을 직관으로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신] • 투자는 고학력자, 경제학자, 산업 전문가, 금투 프로가 반드시 잘하는 것은 아니다. 언급한 모두가 잘 할 잠재력은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 내가 아는 것 외에는 모르고 있다는 사실, 여집합은 비어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 그리고 내가 아는 것조차 제대로 알고 있는건지 의심해야 한다. • 거기에 더하여 내가 갖고 있는 고유한 늪(뻘짓)을 잘 알아야 한다. (당연히 장점도 알아야^^)
▶ 테크주식 주주모임 (AI/반도체/로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