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 투자 정보/의견

제목[re] 배경지식 조사 (AdX, DFP) (그록 4)
작성일시2025-10-05 20:53:27
카테고리주식
작성자

Q) 현재 구글이 광고 기술 독점 이슈로 진행하는 반독점 소송과 관련해서 다음 사항을 자세히 정리해 줘.
1. 구글이 갖춘 광고 생태계의 구성 요소와 구글이 수익을 내는 방식

2. 구글 광고 생태계에서 AdX와 DFP(DoubleClick for Publishers)의 역할과 중요성


A)

1. 구글이 갖춘 광고 생태계의 구성 요소와 구글이 수익을 내는 방식

구글(Alphabet)의 광고 생태계는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광고주(구매 측), 게시자(판매 측),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교환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구글이 검색,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광고를 중개하는 통합 시스템으로, 2023년 기준으로 구글은 전 세계 디지털 광고 수익의 약 39%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광고 사업은 Alphabet 전체 수익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2020년 기준으로 약 1,470억 달러를 창출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구성 요소를 정리하고, 수익 창출 방식을 설명하겠습니다. 광고 생태계의 주요 구성 요소구글의 생태계는 광고주 측(Demand-Side), 게시자 측(Supply-Side), 그리고 중간 교환(Exchange)으로 나뉩니다. 이들은 상호 연결되어 실시간 경매를 통해 광고 거래를 촉진합니다.


1) 광고주 측 (Buy-Side) - 시장 점유율(대략, DOJ 추정): 40~80%

광고주가 광고 공간을 구매하고 타겟팅하는 플랫폼. 광고주가 키워드나 오디언스를 지정해 입찰.

- Google Ads (검색 광고)

- Display & Video 360 (DV360, 이전 DoubleClick Bid Manager)


2) 게시자 측 (Sell-Side) - 시장 점유율(대략, DOJ 추정): 90%

웹사이트나 앱 운영자가 광고 공간(인벤토리)을 판매하고 관리하는 도구. 게시자가 광고를 최적화.

- Google Ad Manager (이전 DFP 포함)

- AdSense (소규모 게시자용)

- AdMob (모바일 앱용)


3) 교환 및 네트워크 (Exchange/Network) - 시장 점유율(대략, DOJ 추정): 50%

광고주와 게시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경매 시스템. Google Display Network(GDN)을 통해 타사 사이트에도 광고 배포.

- AdX (Google Ad Exchange)

- Google Network (타사 사이트 네트워크)


  • 상호 연결 방식: 광고주는 Google Ads나 DV360을 통해 입찰하며, 이는 AdX 같은 교환소를 거쳐 게시자의 Ad Manager나 AdSense로 연결됩니다. 이 과정에서 구글은 모든 단계를 통제하며, 데이터(사용자 행동, 검색 쿼리 등)를 활용해 정밀 타겟팅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검색 광고는 Google Search나 Maps에서, 디스플레이 광고는 YouTube나 타사 사이트에서 실행됩니다.


구글이 수익을 내는 방식

구글의 수익은 주로 광고 경매(Auction)와 수수료(Take Rate)를 통해 발생합니다. 전체 수익의 80% 이상이 광고에서 나오며, 이는 Alphabet의 주요 원천입니다.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매 기반 모델: 광고주는 실시간 입찰(RTB, Real-Time Bidding)을 통해 광고 공간을 경쟁적으로 구매합니다. 구글은 경매를 주관하며, 최고 입찰자가 광고를 게재합니다. 주요 가격 모델:

    •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비용. 검색 광고에서 주로 사용되며, 산업에 따라 클릭 비용이 수 달러에서 수백 달러까지 변동 (예: 법률 서비스는 고가). 

    • CPM (Cost Per Mille): 천 회 노출당 비용. 디스플레이나 비디오 광고에 적합.

    • 기타: CPA (Cost Per Action, 행동당 비용)나 CPV (Cost Per View, 조회당 비용) 등.

  • 수수료 및 수익 분배: 구글은 거래 중개 수수료를 받습니다. 예를 들어, AdSense를 통해 게시자가 광고를 판매하면 게시자가 수익의 68% (디스플레이) 또는 51% (검색)를 받고, 구글이 나머지를 취합니다. AdX 같은 교환소에서 구글은 거래액의 20-30%를 수수료로 가져갑니다. 이 모델은 구글의 시장 지배력으로 인해 경쟁사가 따라오기 어렵습니다.

  • 추가 수익원: YouTube (2020년 200억 달러, 13% 비중)에서 크리에이터와 수익 공유, Google Cloud나 Maps 같은 제품에서 광고 통합. 비상업적 검색(80%)은 monetize되지 않지만, 데이터 수집으로 간접 수익화. 


이 생태계는 구글의 데이터 우위(검색 쿼리, 사용자 프로필)를 바탕으로 효율성을 높이지만, 반독점 소송에서 독점적 지배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2. 구글 광고 생태계에서 AdX와 DFP(DoubleClick for Publishers)의 역할과 중요성

AdX와 DFP는 구글 광고 생태계의 핵심으로, 게시자 측과 교환 측을 연결합니다. 이들은 2007년 구글이 DoubleClick를 31억 달러에 인수한 후 통합되었으며, 현재 Google Ad Manager의 일부입니다. 반독점 소송(미국 법무부 vs. 구글, 2023년 시작)에서 이들의 '타이링(Tying)'이 주요 쟁점으로, 구글이 이를 통해 시장을 독점했다고 판정되었습니다. 2025년 현재, remedies trial에서 AdX와 DFP의 매각(Divestiture)이 논의 중입니다. 


AdX (Google Ad Exchange)의 역할과 중요성

  • 역할: AdX는 실시간 광고 교환소로, 게시자의 광고 인벤토리를 광고주에게 연결합니다. 게시자가 Ad Manager를 통해 공간을 등록하면, AdX에서 실시간 입찰(RTB)이 이루어져 최고 입찰자가 광고를 게재합니다. 이는 Google Network를 통해 타사 사이트에도 확대되며, 광고주 측 DV360과 연동됩니다. AdX는 대형 게시자를 위한 프리미엄 교환소로, 다중 교환소 접근을 지원하지만 구글의 'First Look'이나 'Last Look' 메커니즘으로 자사 우대를 줍니다. 

  • 중요성: AdX는 구글 생태계의 '중심 허브'로, 시장 점유율 50%를 바탕으로 거래를 독점합니다. 소송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AdX를 DFP와 묶음으로써 게시자가 다른 교환소를 사용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이는 경쟁 억제와 가격 왜곡을 초래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구글은 수수료를 높게 유지하며 수익을 극대화하지만, 게시자와 광고주의 선택권을 제한합니다. DOJ는 AdX의 완전 매각을 요구 중입니다. 


DFP (DoubleClick for Publishers)의 역할과 중요성

  • 역할: DFP는 게시자 광고 서버(Publisher Ad Server)로, 대형 게시자가 광고 인벤토리를 관리하고 판매하는 도구입니다. 현재 Google Ad Manager에 통합되어 있으며, 직접 판매(Direct Deals)와 경매를 지원합니다. 게시자가 여러 교환소(AdX 포함)를 연결해 최적 수익을 추구할 수 있게 합니다. AdSense와 달리 대규모 트래픽 사이트(예: 뉴스 미디어)에 적합하며, 분석과 타겟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 중요성: DFP는 게시자 측 시장의 90%를 장악하며, 구글의 공급 측 지배를 상징합니다. 소송에서 DFP를 AdX와 불법적으로 결합(Tying)했다고 판정되었으며, 이는 게시자가 AdX를 우선 사용하도록 강제해 실시간 입찰을 제한했습니다. 이로 인해 경쟁 교환소가 배제되고, 구글의 수익이 증가했습니다. DOJ는 DFP의 부분 매각을 제안하며, 이는 전체 생태계의 경쟁 촉진을 목적으로 합니다. 만약 매각이 이뤄지면, 게시자와 광고주의 비용 절감과 혁신이 기대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