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IM의 매그너스 칼슨 인터뷰에서 통찰을 남긴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글은 AI 생성 스크립트에 대한 구글 번역본을 기초로 하며, 시간 관계상 본인 느낌에 따라 타협해 쓰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원본 인터뷰 시청을 권장한다.
• 2024년 8월 7일, 노르웨이 체스기사 매그너스 칼슨에 대한 인터뷰가 공개됐다.
1. 체스와 비즈니스, 투자
• 높은 수준의 프로 체스기사들은 시간 제한 때문에 탐색 범위를 좁히고 직관을 활용하도록 뇌가 훈련된다.
• 패턴을 인식하고 빠른 결정을 내리도록 훈련받는 것이다.
• 보통 경기에서 지는 것은 내가 직관적으로 놓친 것을 상대가 자세히 들여다봤기 때문이다.
• 보통 두 가지 대안을 생각하는데, 그 중 하나에 편향되는 경향이 있다. 최대한 둘 다 객관적으로 보려 노력한다.
• 10분에서 15분이 지나면 집중력을 더 오래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꽤 깊이 생각하려면 15분 정도가 적당하다.
• 너무 오래 생각하면 많은 게 잘못될 수 있다. 완벽주의자들이 45분간 생각만 하다가 뻔한 수를 두는 걸 많이 본다.
• 시작부터 아무 것도 놓치지 않기 위해 탐색 범위를 넓히지 않는 방식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게 아니라는 걸 알기에 거의 쓰지 않는다.
• 항상 먼 미래를 내다보지만, 끊임없이 계획을 방해하려는 상대가 있기 때문에, 단기 계획과 장기 계획을 모두 염두에 두어야 한다.
• 머리 속에 떠오르는 첫 생각이 대개 옳을 때는 쉽다. 그럴 때 나는 상대의 행동에 반응하지 않고 앞서 나갈 수 있다.
• 우리는 체스에서 같은 도구를 가지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이다. 누구나 완벽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모든 가능성을 계산할 수는 없다.
• 소극적이고 위험 회피적인 상대에게는 자연스럽게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한다. 공격적인 상대에게는 직접 불균형을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 신중하게 접근한다.
2. 체스와 심리, 성장
• 체스 실력 향상을 위해 어린 나이에 모든 정보를 접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일찍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 나는 아직 배우는 중이고, 어떤 아이디어와 포지션에 대한 이해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나는 항상 매우 낙관적이었다. 기사 생활에서 정체되거나 퇴보했던 두 번의 시기가 있었다. 하지만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했고, 다음 경기에서 상황이 바뀔 거라는 망상적인 생각을 했다.
• 나는 이 분야에서 정말 잘하고 있고, 결국에는 좋아질 거라는 똑같은 사고방식을 유지했다.
• 나는 체스에서, 낙관과 망상 사이 어딘가에 적절한 균형이 있다고 항상 생각해 왔다.
• 그것은 일종의 생존 메커니즘이다. 조금 더 낙관적이면 더 많은 기회를 보고 포착하고, 상대에게 더 큰 압박을 가하고, 좋은 결과를 냈을 때 더 행복해진다.
• 체스에서 심리학은 정말 중요하다. 올바른 사고방식이 없다면 충분한 위험을 감수하지 않거나 너무 많은 위험을 감수하게 된다.
• 언제 위험을 감수해야 하고 감수하지 않아야 하는지 아는 것은 상대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 나는 실패에 대처하는 법을 배우기보다는 피하려고 노력한다.
• 모든 경기에서 승리하려면 위험을 감수하고 100% 생존 모드에 있어야 한다.
• 피할 수 있는 실수를 했거나 잘못된 마음가짐을 가졌다면, 완전히 리셋하려고 노력한다. 잠시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호흡에 집중하고, 다른 곳에 있는 것이다.
• 나중에 엔진으로 플레이한 경기를 다시 보는 게 재밌다. 항상 그렇게 한다.
• 몸이 건강하면 마음도 건강해지고, 경기력도 좋아진다.
• 예전에는 엔진을 사용하지 않은 체스가 있었지만, 지금은 효과가 없다. 이제는 사람의 도움 없이도 체스를 정말 잘할 수 있다.
• 나는 스스로를 똑똑하지만 비범하지는 않은, 자신이 정말 잘할 수 있는 한 가지를 찾은 사람으로 생각한다.
• 익숙한 패턴에 안주하지 않고 배우는 데 집중하고 호기심을 갖는 게 정말 중요했다.
※ 본인은 테크주식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