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순항할까?

오픈AI가 스타게이트를 통해 그리는 그림을 보기 위해 경과를 정리했다.

1. 스타게이트 발표 개요

• 스타게이트는 2025년 1월 21일 트럼프 2기 취임식에 맞춰 발표된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다.

• 텍사스에는 이미 인프라 구축을 시작했으며, 추가로 미국 전역에 데이터센터를 지을 예정이다.

• 초기 지분투자에는 소프트뱅크 그룹(이하 소프트뱅크), 오픈AI, 오라클, MGX가 참여하며, 소프트뱅크가 재정 책임, 오픈 AI가 운영 책임을 맡는다.

• 핵심 기술 파트너로 Arm,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이 참여한다.

• 초기 $100B 투자를 시작으로, 2029년까지 최대 $500B를 투자한다.

2. 발표 후 관련 뉴스

• 2025년 1월 22일, 일론 머스크는 그들은 실제로 돈이 없다고 했으나, 익일 샘 올트먼은 첫 번째 현장을 언급하며 반박했다.

• 2025년 2월 10일, 스타게이트 비용의 약 90%를 프로젝트 파이낸싱으로 조달할 계획이라고 전해졌다. (약 10%는 지분 투자) [참고자료]

• 2025년 2월 22일, 오픈AI는 2030년까지 컴퓨팅파워의 약 75%를 스타게이트 향으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참고자료]

• 2025년 3월 18일, 텍사스 애빌린 데이터센터는 최대 40만개의 GPU를 수용할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2026년 중반까지 1.2GW의 전력용량으로 완공될 예정이라고 전해졌다. [참고자료]

• 2025년 3월 31일, 소프트뱅크가 오픈AI에 최대 $40B(실질 $30B)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참고자료]

• 2025년 5월 7일, 오픈AI는 소버린 인프라 구축 이니셔티브 OpenAI for countries를 발표했다. 첫 단계로 미국의 전통적 동맹국과 시작하며, 점진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참고자료]

• 2025년 5월 22일, 오픈AI는 스타게이트 UAE를 발표했다. 2026년까지 200MW 규모로 운영을 시작한다. [참고자료]

• 2025년 6월 6일, 스타게이트 UAE 관련, 안보 우려로 인한 프로젝트 지연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참고자료]

• 2025년 7월 21일, 소프트뱅크와 오픈AI가 파트너십 핵심 조건(부지선정, 전력공급 등)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고 전해졌다. [참고자료]

• 2025년 7월 22일, 오픈AI는 오라클과 스타게이트 관련 4.5GW 규모 추가 데이터센터 구축 협약 체결을 발표했다. [참고자료]

3. 프로젝트 변수

▶ 반도체

• 요구사항이 진화하는 가운데, CoWoS 병목이나 서버 랙 발열 이슈에서 볼 수 있듯이, AI가속기의 제조 공정 및 공급망 관리에는 어려움이 산재한다. (엔비디아 생산 리드타임: 1년)

• 젠슨 황은 현재 HBM과 CoWoS 등 주요 요소가 부족하지 않다고 했다. (GTC Paris, 2025. 6. 11) 하지만 최근 구글 등 하이퍼스케일러들의 CapEx 상향이나, 스타게이트의 확장 등 고객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 전력

• 전력에는 당장 경고 신호가 보이고 있다. 미국 최대 전력망 운영사 PJM은 2026년부터 용량 부족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참고자료]

• 블룸버그NEF는 2035년까지 미국의 전력 소비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고, 백악관은 투자 부재시 전력 부족이 심화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참고자료1] [참고자료2]

▶ 수익성

• 현금흐름 측면에서 스타게이트의 요체는 초기에 거액을 지출하고, 부채에 대한 이자비용을 발생시키는 대신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컴퓨팅 파워에 붙이는 이윤을 절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 현재 순손실 상태인 오픈AI가 스타게이트의 수익성을 담보할 신규 매출원을 확보할지 여부가, 파이낸싱 참여 금융기관의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5년간 $450B 부채 조달 필요)

▶ 운영

• 소프트뱅크가 자사의 SB에너지를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에 연계하길 희망했고, 여기서 오픈AI와 이견이 있었음이 전해졌다.

• 이처럼 업무를 공동으로 진행하면 뜻을 맞추기도, 속도를 내기도 어렵다. 양사의 지분율이 40%로 동일한 점도 눈에 띈다. 소프트뱅크와 네이버가 50%씩 합작했던 라인야후에 대한 기억이 스친다.

4. 맺으면서

• 여러 현실적인 변수가 상존함에도 불구하고, 스타게이트로 만난 소프트뱅크와 오픈AI는 서로 이해가 잘 맞는 측면이 있다.

• 소프트뱅크에게는 스타게이트가 비전펀드의 부진을 만회할 좋은 투자 기회이면서, 동시에 글로벌 AI에서 영향력을 확보하는 초석이 될 수 있다.

• 오픈AI는 전용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마이크로소프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 소버린 인프라 사업을 전 세계로 확장할 수 있다.

• 스타게이트는 결국 오픈AI를 공룡 반열에 올려 놓을 발판이 될 수 있을까? 귀추가 주목된다.

5. 작성일 이후 갱신

• 2025년 7월 31일, 오픈AI는 스타게이트 노르웨이를 발표했다. 500MV 규모 컴퓨팅 캠퍼스를 구축하며, 2026년 초부터 운영을 시작한다. [참고자료]

※ 본인은 테크주식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